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크아잠방
- 오토핫키 매크로강좌
- mc몽 인기
- 승작
- 크아 좀비매크로
- 좀비매크로
- 큰겜
- 팡당
- 오핫
- 매클
- 크아
- 오토핫키 마우스클릭
- 잠방매크로
- 가상윈도우
- 오핫 강좌
- 잠방부주
- 오토핫키
- 크아 잠방부주
- 크아잠방매크로
- 매크로
- 베트남동접기
- 송가인 인기
- 윈7 정품
- 동접
- 크아매크로
- 잠방
- vmware
- 오토핫키 강좌
- 크아 잠방
- 크아 동접
- Today
- Total
팡당[큰겜1대]
오핫 간단 기초[마우스 클릭] 본문
우선 마우스는 기본적으로 움직일 수 있고
좌클릭, 우클릭이 존재하고
클릭하고 드래그를 하거나,
마우스 휠 조작 등이 있죠.
그렇기 때문에 저희는 오토핫키를 통해
마우스 위치를 얻어서, 이걸 조작할 수 있습니다.
Mouse Position 부분의 Window : 부분입니다. 각각 X, Y 좌표를 갖고있습니다.
위처럼, 마우스가 움직이면 그에 맞춰서 Mouse Position 부분이 움직이는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.
Ctrl 이나 Shift 버튼을 누르면 그 부분이 일시정지가 되어, 어딘가에 기록한 다음에 다시 떼서 마우스 위치를 찾으시면 됩니다.
마우스 위치 변경하기
가장 기본적으로, 마우스 위치는 Mousemove 라는 오토핫키 명령어로 가능합니다.
MouseMove, X, Y [, Speed, R]
이런식으로 구현이 되며, X 와 Y 는 위에서 찾은 마우스의 X,Y 좌표이며
Speed는 마우스가 이동할 위치, R같은 경우 R을 적으면 현재의 마우스 위치에서 설정한 X,Y좌표만큼 이동하는 것입니다.
현재는 쓰일 일이 없으니 그렇구나~ 만 하고 넘어가시면 됩니다.
X,Y 좌표만 입력하면 마우스이동은 끝! 입니다.
F5::
Mousemove,216,131
Return
위와 같이 스크립트를 짜놓고 실행을 해보면..
위와 같이 정해진 좌표로 마우스가 이동하는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.
마우스 클릭
먼저, 마우스 클릭같은 경우 매우 간단하게는 Click 함수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.
단순히 Click 만 입력하면 왼쪽 버튼을 누르는것이고,
위 사진과 같이 Click, Down 같은 경우 Click 버튼을 꾹 누르고 있는 상태,
Click, Up 같은 경우 Click 버튼을 뗀 상태가 됩니다.
F5::
Mousemove,216,131
Click,Down
Click,Up
Send,asdfasdf
Return
다른 경우는 Mouseclick 함수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.
MouseClick [, WhichButton , X, Y, ClickCount, Speed, D|U, R]
위와 같은 형태며, WhichButton 엔 Left(좌클릭)나 Right(우클릭), Middle(가운데 버튼 클릭) 등이 올 수 있고
X,Y는 마찬가지로 좌표,
Clickcount는 얼마나 누를것인지,
Speed는 속도(가장 느린것이 100, 가장 빠른것이 0)
D를 선택하면 Down, 즉 꾹 누르는것
U를 선택하면 Up, 즉 떼는것
R은 위 설명과 동일합니다.
주로 X,Y까지만 쓰지 뒷부분은 자주 사용하진 않기때문에, 앞부분만 알고 계셔도 상관은 없을 듯 합니다.
F5::
Mouseclick,left,216,131
Send,asdfasdf
Return
위 두 스크립트 모두 위처럼 작동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마우스 드래그
마우스 드래그 또한 마우스 조작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입니다.
마우스 드래그는 작게 보면, 마우스를 이동한 후 꾹 눌러서,
뗄 부분으로 마우스를 이동한 후 떼는 방식으로 구현이 가능합니다.
그렇기 때문에, 여러가지 방법으로 구현이 가능하지만
3가지 방법으로 구현 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.
F5::
Mousemove,259,175
Click,down
Mousemove,56,76
Click,Up
Return
먼저, Mousemove 와 Click을 이용한 방법입니다.
F5::
Mouseclick,left,259,175,1,100,D
Mouseclick,left,56,76,1,100,U
Return
다음으로 마우스클릭을 이용한 방법입니다.
위에서 서술했듯이, 1은 클릭횟수, 100은 딜레이, D는 Down, U는 Up입니다.
MouseClickDrag, WhichButton, X1, Y1, X2, Y2 [, Speed, R]
다음으로 MouseclickDrag입니다.
특이하게 X1,Y1 시작점을 지정해주고, X2,Y2 끝점을 지정해줘서
드래그하는 함수입니다.
세 스크립트 모두 위처럼 작동합니다.
마우스 휠
마우스 휠도 사실은 하나의 버튼에 불과합니다.
Click, Wheeldown 을 통해 아래 휠 버튼을 누르고
Click, Wheelup 을 통해 위 휠 버튼을 누를 수 있습니다.
F5::
Mouseclick,left,140,115
Click,Wheeldown
sleep,300
Click,Wheeldown
sleep,300
Click,Wheeldown
sleep,300
Click,Wheelup
Return
위처럼 마우스 휠이 잘 작동되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.
마우스의 위치
맨 윗부분에서, spy를 통해 마우스의 Window 위치를 통해 X,Y 좌표를 알 수 있다 했습니다.
이는, 그 창이 활성화되어있을때 그 창의 X,Y좌표를 가져오는것으로
다른 창이 활성화되있을때의 좌표를 입력하면 생전 딴 좌표로 이동하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.
그렇기 때문에, 이를 이용해서 매크로를 만들때는
항상 매크로 대상이 되는 창을 활성화 된 상태에서 좌표를 가져와야 합니다.
물론 모니터의 화면, 즉 절대적인(absolute) 좌표(screen)를 가져와 클릭하거나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습니다.
'오토핫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오토핫키 [이미지서치] (0) | 2019.12.25 |
---|---|
오토핫키 [Loop] & [break] (0) | 2019.12.25 |
오핫 간단 기초강좌[Send] (0) | 2019.10.18 |
오핫 간단 기초강좌[메세지출력] (0) | 2019.10.18 |